![]() 안녕하세요 D-S입니다. 시대는 바뀌어서 저도 전자책을 사고 있습니다. 책 놓을데가 없어요. 리디북스에서 동인녀의 감정이라는 책을 5천원에 팔길래 샀습니다. 전자책을 사고나니 왠지 마음이 허하네요. 역시 책은 종이책. 동인녀의 감정은 트위터에서 조금 흥했던 만화같은데 저는 사실 잘 몰랐고, 예전에 수성의 마녀 감상 만화를 재밌게 그리셨던 분이 감상만화를 그리셨길래 궁금해서 봤습니다. 2차창작으로 원본 만화를 봤는데, 원본 만화가 2차 창작에 대한 만화라니 좀 웃기네요. https://creta-cow.postype.com/post/14118921 이거였습니다. 누가 그러더군요. 오타쿠와 일반인의 차이는, 어떤 매체를 보고 그것으로 그 매체를 보는 것을 끝내면 일반인, 그것으로 더 파기 시작하면 오타쿠라구요. 이 만화의 주인공들은 2차장작을 하는 사람들입니다. 글러 라고 번역이 되있던데 이제 우리나라에서는 이 단어가 시민권을 얻은걸까요? 번역가인 선정우님이 알아서 잘 하셨겠거니 라고 생각합니다. 전 사실 2차창작 쪽은 잘 모르기도 하구요. BL2차소설과 그 창작자들에게 관심이 많은 사람들에 대한 에피소드들의 모음집인데, 우리나라 서브컬쳐 계열을 잘 아시는 분들이나, 최근(이라고 하기에는 이미 10년이상 지난) SNS의 트렌드를 아시는 분이시라면 재밌게 볼것 같습니다. 저도 이제 1주일에 애니는 많이 안보고(이번 기수에 보는건 사이토상 이세계로 가다 정도네요), 만화도 그렇게 보지는 못합니다. 생업에 치여서요. 그래서 여기 나오는 분들과는 조금 거리가 있습니다. 지금에 저는 한 장르를 오래 파기보다는, 짧은 시간을 이용해서 여러 매체를 보려고 합니다. 그래서 2차 창작까지 파는 경우는 많이 드물죠. 이 작품에서 나오는 한 작품의 BL2차 창작같은 경우는 더더욱 그렇습니다. 그래서 좀 거리가 있게 느껴지기는 했습니다. 그러나 그 소재 말고 흐름, 즉 질투를 느끼고 창작을 하고 싶고, 내가 몰랐던 정보를 캐내고, 사람을 찾고, 못봤던 만화를 구하고 그런건 정말 공감이 갔습니다. 저도 못구하는 만화책 찾으려고 서울의 거의 모든 중고만화 책방을 돌아다니던 때가 있었고, 망한 홈페이지에서 글이라도 하나 구하기 위해서(Salvage란 표현이 가장 가까울것 같아요) 이리 뛰고 저리 뛰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공감이 많이 가는 부분들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인상적이었던 것은 결국 이 만화는 작품보다는 사람에 대한 이야기였다는 겁니다. 글러들이 소비하는 작품이 무엇인지는 중요하게 나오지 않습니다. 대부분 존잘에게 치이는 사람들의 이야기라는 건데, 이게 장르나 매체를 바뀌어도 비슷비슷한 이야기들이 많아서 흥미로웠습니다. 압도적으로 대단한 사람은 질투하거나 숭배하거나 무시하거나 이 3가지로 되거든요. 1권이라는건 2권도 나올 예정이라는걸까요? 전 단권으로 끝나는거라고 생각해서 샀는데 2권도 나올 예정인가 봅니다. 나오면 또 살 것 같네요. 그리고 전 전자책이 참 그런게, 종이책은 돌려볼 수가 있는데 전자책은 그런게 안되네요. 내가 산 책을 한 3일간이라도 외부에 대여 한 형식으로 내가 지정한 사람에게 보여줄 수 있는 그런 서비스는 어려울까요? 돈이 안되서 안되나? 전 가끔 전자책DRM 문제도 있곤 해서 그냥 실물 책을 산다음에 스캔하자라는 생각을 하기도 합니다. 그럼 이만~
안녕하세요 D-S입니다.
전 드라마를 잘 보지 않습니다. 너무 길어요. 무슨 시즌이 몇개 각 시즌 마다 몇화... 너무 길어서 보기 힘듭니다. 그런데 출퇴근 시간이 길어지면서, 뭐라도 해볼려고 했지만, 결국 그냥 영상 보는게 가장 편하더라구요. 그나마 할만하고. 그래서 이번에 반지의 제왕이 드라마 화 된다고 해서 봤습니다. 전 책은 반지의 제왕 1,2,3권 보고 영화를 봤을 뿐으로 톨킨의 저작물을 다 보거나 그런 사람은 아닙니다. 알더라도 나무위키에서 수박 겉 핥기 정도로 알고 있을 뿐이죠. 그래서 이 드라마가 원작이랑 얼마나 어떻게 틀린지는 정확히는 모릅니다. 다만, 원작이랑 엄청나게 차이가 있다는건 알겠습니다. 잘 모르는 제가 봐도 그래요. 그래서 진행을 예측할 수가 없습니다. 큰 줄기는 같겠죠. 하지만 등장인물도 다르고, 생로병사도 다르고 내용도 다 다르고 해서 흥미진진하게 보고 있었습니다. 얘가 이렇게 된다고? 이게 말이돼? 정말이냐? 제정신이냐? 대부분의 진행이 이래서 문제지만... 뭐 흑인엘프도 괜찮고, 흑인 난쟁이도 괜찮고 뭐 다 괜찮습니다. 영상도 괜찮고(돈빨). 근데 개연성이 다 이상합니다. 액션 이상한건 그냥 웃길려고 넘어갈 수 있어요. 근데 캐릭터들 행동 하나하나가 다 좀 이상합니다. (이하 스포일러) 1. 갈라드리엘, 발리노르로 가던 배에서 갑자기 번지점프를? 거기서 갑자기 남부사람들을 만나서? 둘이서 그 넓은 바다를 건너서? 갑자기 누메노르로 와서? 계속 강짜만 부리다가 섭정여왕을 설득해서? 남부로 다시 돌아와서? 사우론이랑 썸타? 사우론이 만들자고 한 반지를 다 알고서 그냥 만들어? 2. 미리엘은 아빠 말 씹고 가운데 땅으로 와서 장님이? 3. 이실두르는 분노조절장애인가? 4. 세오 얘는 도대체 뭔가? 5. 아론디르 얘는 왜 인간이랑 썸타? 6. 왜 사우론의 무기 확인을 안해서 개털려? 7. 왜 모든 일들이 이렇게 편의주의적으로 흘러가는가? 8. 탑은 무너졌었는데 오크들은 왜 다 살아있나? 등등등 뭐 암튼간에, 재밌게 보기는 했습니다. 영상미도 있어요. 내용은 아마 원작을 좋아하신 분들이라면 참 받아들이기 어렵겠지만, 전 그냥 헤에~ 이러고 봤습니다. 추천하지는 않아요, 다만 반지의 제왕의 세계관을 그냥 큰 화면으로 영상미 있게 느끼고 싶다면 볼만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이상을 생각하면 안되구요. 아 그리고 작중 최고미녀 설정인 갈라드리엘은 이쁩니다. 액션은 좀 아니지만... 그럼 이만~
안녕하세요 D-S입니다.
저는 굉장히 오랜 시간을 걸려서 출퇴근을 합니다. 출퇴근 편도 1시간 반 정도 되요. 그리고 지하철을 이용하죠. 지하철에서 할건 별게 없습니다. 공부도 해볼까 했지만 포기했어요 집중도 안되고. 그래서 대부분 핸드폰으로 유튜브, 트위터, 웹서핑 등을 합니다. 그러다가 느낀건... 지하철이 참 전자기기 쓰기에 안좋은 곳이구나 라는 것이었고, 사람들이 다 핸드폰을 하는 것도 이해가 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저는 시간이 많이 없는 직장인이고, 뭐라도 여기서 해보고 싶어서 여러가지를 해봤지만, 결국 다 잘안됐습니다. 1. 게임 제가 아야 네오를 사고 최근에 스팀덱도 산 이유는 지하철에서 게임을 해보자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지하철에서 게임을 하는건 쉽지 않은 일입니다. 닌텐도 스위치로 게임하는 것 보다 더 힘든것 같에요 윈도우 게임을 하는 건. 일단 게임기가 큽니다. 그리고 앉아가지 않으면 하지 못합니다. 앉는게 힘들고(자리가 없으니), 앉지 못하면 그날은 그냥 무거운 게임기만 들고 나온 날이 됩니다. 앉아도 게임을 할려면 전신의 기운을 모아야 합니다. 의외로 게임은 정신력을 소모하는 취미이고 (방치형 게임은 모르겠습니다) 이걸 할려면 뭔가 각오를 해야합니다. 직장인 분들은 아실거에요, 이런 느낌을 그런데 1시간 반이라는 출퇴근 시간 중 걷는 시간, 갈아타는 시간(1번 갈아탑니다) 등을 감안하면 정작 게임을 할 수 있는 시간은 40분 정도고, 40분 정도 깔짝 깔짝 하는건, 그것만으로도 피곤한 일입니다. 특히 액션게임은 40분 동안 뭔가 에너지를 많이 쏟아야 하니 더 손이 안가죠(그런데도 하이파이 러쉬는 손이 가더라구요). 결국 최근에는 많이 안가지고 갑니다. 2. 영화 또는 드라마 영화 또는 드라마와 같은 영상물들은 지하철에서 즐기기 가장 좋은 매체입니다. 가벼운 핸드폰으로도 볼 수 있고, 서서도 볼 수 있죠. 문제는 제 에고 때문인데, 같은 영상물을 본다면 최대한 제대로 되어있는 디스플레이에서 즐기고 싶기 때문입니다. 반지의 제왕을 핸드폰으로 본다? 아깝잖아요, 특히 요즘은 같은 영상물은 두번 보지도 않는데. 한번의 기회를 이렇게 날리고 싶지 않은 욕심이, 저를 지하철에서 드라마, 영화 보는걸 막습니다. 하지만 우린 알고 있죠, 집에 가서 적당히 갖추고 내가 보려고 했던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을 볼 시간이 없다는 걸. 결국 쌓여만 갑니다. 그래서 요즘에는 그냥 8인치 y700을 들고 나가서 봅니다. 거기에 영상 담아서요. 지하철 타고가면서 봅니다. 집중이 잘 안되기는 하지만, 이거라도 아니라면 보지도 않을 겁니다. 3. 유튜브, 틱톡 등 유튜브 처음을 기억하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유튜브에 10분 이상의 영상을 올릴 수가 없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전 유튜브에서 지금도 10분 이상이 되는 영상을 보는건 정말 힘듭니다. 왜 이렇게 긴걸 보지? 이런건 글로 쓰면 안되나? 굳이? 이런 생각 뿐이에요. 그래서 전 유튜브에서는 최대한 짧은 것만 보고, 긴건 2배속으로 보기도 하곤 합니다. 그런데 틱톡이나 유튜브 숏츠 같은 아주 짧은 컨텐츠들이 범람하기 시작했고, 그것에 저도 익숙해져가고 있는데, 솔직히 이런 인스턴트한 매체들이 저에게 좋은 영향을 줄것 같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적당적당히 걸러서 보고 있습니다. 무한 휠이 인간의 도파민을 자극해서 중독을 준다는 이야기를 들은적이 있습니다.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튜브 숏츠, 틱톡 다 이런 식이죠. 조심해야 하겠지만, 재밌는건 어쩔 수 없네요. 암튼 유튜브, 틱톡을 보는건 핸드폰 만으로도 충분합니다. 4. 지하철에서 인터넷 끊김 문제 저는 업무상 핸드폰을 두개 써야하는 경우가 많아, 듀얼심 핸드폰을 사용 중입니다만, 한국은 듀얼심 폰의 무덤(갤폴드4 이전)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외산폰을 사용중입니다. skt사용자구요. 그런데 듀얼심 폰은 한국에 주력 밴드인 band5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인터넷이 잘 안됩니다. 그런데 한국폰도 지하철에서는 그냥 lte가 끊기는거 보면 걍 종특인것 같아요 지하철의. 지하철은 정말 인터넷이 안됩니다. 국가에서 나오는 평균은 시간과 장소를 고려하지 않은 평균값이기에, 출퇴근시간에 사람많은 곳의 인터넷이 얼마나 끊기는지는 알려주지 않죠.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1453283 이 기사에 따르면 퇴근길 인천방면 1호선 lte 다운로드 속도는 0.8Mbps라고 합니다. 2호선도 그리 다르지는 않을것 같아요. 결국 통신사 문제라는 거죠. 통신사가 대오각성할 일은 없으니 암담한 일입니다. 5. 핫스팟이면 더 문제 저는 요즘 눈이 침침해서, 큰 화면을 보기 위해 y700을 들였습니다만, 이게 lte가 없다 보니, 결국 핸드폰 핫스팟을 이용하게 됩니다. 그런데 핸드폰도 안터지는 지하철에서 핫스팟이 잘 될까요? 당연히 안됩니다. 너무 느려요, 너무 열받고... 그래서 그냥 아이패드 미니6를 살까 생각도 하다가, 어차피 안터지겠지... 라는 마음도 들고 해서, 걍 옛날 감성으로 microSD카드 달고 영상을 넣어서 다닙니다. 사실 8인치 정도 되는 lte되는 태블릿은 아이패드미니6 뿐이지만, 120hz의 노예인 저로서는 아이패드미니6의 60hz는 너무 견디기가 힘들더라구요, 실제로 만져보고 좋다는 건 알아도 아 차라리 그냥 아이패드 프로를 들고 다니겠다는 생각이 들 뿐이었습니다. 6. 결론 암튼 간에 지하철에서 만족스럽게 뭘 하는건 불가능하다는 생각이 들었고, 어떻게든 욕심을 내려놓고 살아야겠다는 마음을 먹었습니다. 그럼 이만~
안녕하세요 D-S입니다.
나이를 먹어도 게임은 재밌습니다. 여전히 하고 있고, 더 하고싶지만 시간과 장소가 없네요. 암튼 최근 베요네타 1, 2, 3을 내리 깼습니다. 베요네타 1은 과거 몇번이나 엔딩을 보려고 노력했던 게임입니다. 당시 근성이 없어서 못깼는데 하도 하드디스크 구석에 있는게 눈에 띄어서 이번에는 깨봐야겠다 하고 엔딩봤습니다. 굉장히 오래된 게임이죠 이제는. 이번에 스위치로 나오면서 한글패치도 같이 되었는데, 전 예전에 설치한 피시판이 아직 있어서 그거로 했습니다. 4k도 되고, 아마 베요네타 1은 피시판이 가장 그래픽이 좋을거에요. 리마스터판도 4k는 안되는거로 압니다. 저는 8k 모니터가 있어서 8k로도 돌려봤는데 좀 끊기더라구요(3080임). 4090 사고싶다. 게임 자체는 호쾌했고 1, 2, 3중에 가장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가장 기억에 남나 보네요. 데빌 메이 크라이의 감독인 카미야 히데키가 남자로는 해볼거 다 해봤다고 여자로 만들었다는 베요네타는, 영웅은 방어따위 하지 않는다는 일념 하나로 오로지 회피를 하고 줘 패는 게임입니다. 신나게 팼죠, 회피하고 패고 회피하고 패고. 클라이막스에서 버튼은 진짜 손가락 부러지게 눌렀습니다. 저만 이거 다 못채우는줄 알았더니 인터넷에 찾아보니 다른 사람도 다 그러네요. 1편까지는 데메크와 약간 닮았습니다. 데메크 1편과 닮았어요 높은 난이도, 알기 어려운 스토리, 이상하게 많은 퍼즐 등등. 이건 2편에 가서 조금 달라집니다. 2편은 많이 세련되어진것 같습니다. 단발 베요네타도 상당히 맘에 들었고, 액션이 더 호쾌해 지면서 편해졌습니다. 1편은 어려운 편에 속했다면, 제가 숙련된 게이머가 되서 모르겠지만 2편은 엄청 쉬었습니다. 액션도 그냥저냥 막 누르면 막 나갔어요. 1편 보스는 즉사기도 있어서 엄청 죽었는데, 2편에서는 거의 죽은 적이 없습니다. 2편은 1편의 연장선상에서 발전을 시킨것이지만 그래픽은 안타까웠는데, 3편은 1, 2편과는 괘를 달리하는 게임입니다. 들리는 이야기에 따르면 오픈월드를 만들고 싶었다고 하는데, 그 편린이 보입니다. 다만 제대로 되지는 않았죠. 쓸데없이 맵은 넓은데 뻥뻥 뚤려있고, 게임은 스위치의 한계를 시험하듯이 프레임이 떨어집니다. 그리고 게임성이 많이 달라졌어요. 1, 2편은 액션게임으로 줘패는 거에 중심을 뒀다면, 3편은 소환수들을 어떻게 하면 더 잘 소환해서 줘 패는지에 더 중점을 뒀습니다. 베요네타는 계속 춤을 추고 소환수는 나와서 줘 팹니다. 장단점이 있지만 나쁘지는 않았고 감독의 선택을 존중하고 싶기는 했습니다. 다만 게임이 너무 느려져요. 베요네타는 3편에서 확 늙었는데 이유는 별거 없이 게임 모델링이 잘못되었기 때문입니다. 게임에서 이상하게 팔자주름이 보여요. 팔자주름은 그냥 그어만 놓아도 확 늙어보이는데, 3편에서는 특히그렇습니다. 스토리는 1, 2, 3편 모두 그냥 잘 뭐 이상합니다. 근데 3편은 특히 이상합니다. 1, 2편의 베요네타는 어떤 일이 있어도 여유를 잃지 않고 모든 난관을 해쳐나갔는데, 3편의 베요네타는 그 여유가 없어보입니다. 처맞고 피흘리고, 이래도 되는걸까? 란 생각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거기다가 마지막에 아... 카미야 히데키는 무슨 생각일까요? 이래놓고 4편을 낸다고? 과연 사람들이 4편을 살까? 9편까지 만들겠다고? 4편이 나오면 하긴 하겠습니다만, 적어도 기대는 안됩니다. 아 그리고 아직 3편은 에뮬이 잘 돌아가지 않습니다. 전 다시한다면 에뮬로 할거에요. 물론 안정화된 이후에. 액션게임을 아직 할 수 있다는 점에 조금 기쁩니다. 저도 이제 나이가 좀 있어서요. 다음에는 signalis를 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만~
|
카테고리
최근 등록된 덧글
저도 그런 내성은 많이 ..
by DSmk2 at 03/13 재밌을 거 같은데 전 이제.. by eggry at 03/06 잠자는 것도 앉을 자리가.. by 잠본이 at 02/17 찾아보니 진짜 있네요. .. by DSmk2 at 02/17 맞는 말씀입니다. 결국에.. by DSmk2 at 02/17 요즘은 너무 많아서 어디.. by DSmk2 at 02/17 종이책도 좋아하긴 하는.. by DSmk2 at 02/17 출퇴근 시간이 길어도 .. by DSmk2 at 02/17 쓰는 사람을 거의 못보긴.. by nemo at 02/16 잠이 보약인 걸로... by eggry at 02/16 메모장
이글루 파인더
|